한울뉴스

연금 주식 금액이 이상한거 같아요. 이해가 안가요

2025. 4. 10. 오전 5:52:04

연금 주식 금액이 이상한거 같아요. 이해가 안가요

안녕! 퇴직연금 관련해서 고민이 많아 보이네. 나도 처음에 이런 투자 관련된 숫자들 보면서 머리가 어지러웠던 적이 많아서, 네 마음 충분히 이해해.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하면서 설명해 줄게. 그리고 현재 상황에서 네 퇴직연금이 위험한지, 왜 이렇게 손실이 났는지에 대해서도 같이 이야기해 보자.

1. 각 화면의 숫자와 손익 퍼센트 정리

첫 번째 화면 (KB증권 - 퇴직연금 계좌 전체)

- 총 금액: 3,722,518원

- 손익: -332,355원 (-8.2%)

- 위험자산 투자비율: 67.0%

- 구성:

- ETF/리츠: 99.12% (3,689,805원, -8.26%)

- 현금자산: 0.88% (32,713원, 0.00%)

이 화면은 네 퇴직연금 계좌 전체를 보여주는 거야. 총 금액이 3,722,518원이고, 손익이 -332,355원, 즉 -8.2% 손실이 났다는 뜻이야. 여기서 "위험자산 투자비율 67.0%"라는 건 네 퇴직연금 자산 중 67%가 주식 같은 변동성이 큰 자산(ETF/리츠)에 투자되어 있다는 거야. 나머지는 현금자산(안정적인 자산)으로 보이네.

ETF/리츠 부분이 99.12%를 차지하고 있고, 이 부분에서 -8.26% 손실이 났다고 나와 있어. 즉, 네 퇴직연금 손실의 대부분은 ETF/리츠에서 발생한 거야.

두 번째 화면 (KB증권 - 퇴직연금 세부 자산현황)

- ACE 미국S&P500:

- 금액: 2,496,825원

- 손익: -304,565원 (-10.9%)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체출환50:

- 금액: 1,192,980원

- 손익: -27,790원 (-2.3%)

- 현금자산:

- 금액: 32,713원

- 손익: 0원 (0%)

이 화면은 네 퇴직연금 계좌에 포함된 개별 상품들을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거야. 네가 투자한 두 가지 상품이 나와 있네:

- ACE 미국S&P500: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2,496,825원 투자되어 있고, -10.9% 손실이 났어. 손실 금액은 -304,565원.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체출환50: 다우존스 배당주 관련 ETF로, 1,192,980원 투자되어 있고, -2.3% 손실이 났어. 손실 금액은 -27,790원.

- 현금자산: 32,713원은 변동이 없네.

세 번째 화면 (토스 - 퇴직연금 계좌 요약)

- 총 금액: 3,722,518원

- 손익: -332,355원 (-8.2%)

- ACE 미국S&P500:

- 금액: 2,496,825원

- 손익: -304,565원 (-10.9%)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체출환50:

- 금액: 1,192,980원

- 손익: -27,790원 (-2.3%)

- 현금자산:

- 금액: 32,713원

- 손익: 0원 (0%)

토스 화면은 KB증권의 데이터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거야. 숫자나 손익률은 KB증권 화면과 동일해. 다만, 토스는 UI가 좀 더 간단하게 정리되어 있어서 보기 편할 수 있어.

---

2. 왜 금액과 손익률이 다르게 보이나?

네가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은 첫 번째 화면에서 전체 손익률이 -8.2%로 나오는데, 개별 상품의 손익률(-10.9%, -2.3%)과 다르니까 이해가 안 가는 거지? 이건 계산 방식 때문에 그래.

- 전체 손익률(-8.2%)은 네 퇴직연금 계좌에 있는 모든 자산(ETF + 현금자산)의 손익을 합쳐서 계산한 거야.

- ACE 미국S&P500: -304,565원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27,790원

- 현금자산: 0원

- 총 손익: -304,565 + (-27,790) = -332,355원

- 총 자산: 3,722,518원

- 손익률 = (-332,355 / 3,722,518) × 100 ≈ -8.2%

- 개별 상품의 손익률은 각 상품의 투자 금액 대비 손익을 따로 계산한 거야.

- ACE 미국S&P500: (-304,565 / 2,496,825) × 100 ≈ -10.9%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27,790 / 1,192,980) × 100 ≈ -2.3%

즉, 전체 손익률은 두 상품의 손익을 합친 뒤 전체 자산으로 나눈 값이라 개별 상품의 손익률과는 다를 수밖에 없어. 현금자산(32,713원)이 손익 0%라서 전체 손익률이 개별 상품의 손익률보다 조금 덜 떨어진 거야.

---

3. 현 정세에서 퇴직연금이 떨어지는 게 맞나?

네가 언급한 대로 트럼프 당선(2024년 11월) 이후 미국 주식 시장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어. 특히 S&P500 지수는 트럼프 당선 이후 경제 낙관론, 감세 정책 기대, 규제 완화 등으로 인해 많이 올랐지. 그런데 네 퇴직연금은 왜 떨어졌을까?

가능한 이유

1. 투자 시점과 시장 변동:

- 네가 퇴직연금을 투자한 시점이 중요해. 만약 네가 S&P500 ETF를 높은 가격에 매수했다가, 이후 시장이 잠시 조정을 받았거나 변동성이 커졌다면 손실이 날 수 있어.

- 트럼프 당선 이후 시장이 상승했다고 해도, 그 전에 네가 매수한 가격이 현재보다 높았다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거야.

2. 환율 영향:

- 네가 투자한 두 상품(ACE 미국S&P500,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체출환50)은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ETF야. 그런데 이 상품들은 원화로 표시되니까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아.

- 트럼프 당선 이후 달러 강세(원/달러 환율 하락)가 있었을 가능성이 커. 즉, 미국 주식이 올랐더라도 원화로 환산하면 손실이 날 수 있어.

- 특히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체출환50"은 이름에 "체출환"이 들어가는데, 이건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을 일부 조정하는 상품일 가능성이 있어. 하지만 환율 하락(원화 강세)이 크면 손실이 날 수 있지.

3. ETF의 특성과 수수료:

- ETF는 지수를 추종하지만, 완벽하게 1:1로 움직이지는 않아. 운용 수수료나 추적 오차 때문에 지수 상승률보다 덜 오르거나 더 떨어질 수 있어.

- 네가 투자한 상품 중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체출환50"은 배당주 중심이라 S&P500처럼 성장주 중심의 지수보다 상승폭이 작았을 가능성이 있어.

현재 상황이 위험한가?

- 단기 손실: 지금 -8.2% 손실은 단기적으로 보면 아쉽지만, 퇴직연금은 장기 투자 상품이야. 1~2년 정도의 손실은 시장 변동성 때문에 흔히 있을 수 있어. S&P500 같은 지수는 장기적으로 보면 꾸준히 우상향하는 경향이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아.

- 위험도: 네 계좌의 위험자산 비율이 67%로, 퇴직연금치고는 조금 높은 편이야. 퇴직연금은 안정성을 중시하는 상품이라 보통 위험자산 비율을 50% 이하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아. 네 성향이 공격적인 투자를 선호한다면 괜찮지만, 손실이 부담스럽다면 ETF 비중을 줄이고 채권이나 예금 비중을 늘리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어.

---

4.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까?

1. 장기적인 관점 가지기:

- 퇴직연금은 10년, 20년 이상 장기적으로 운용하는 상품이야. 지금 손실이 났다고 해서 바로 매도하거나 상품을 변경할 필요는 없어. S&P500 같은 지수는 역사적으로 장기적으로 성장해 왔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

2. 환율과 시장 상황 체크:

- 환율 변동이 네 손익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니, 원/달러 환율 추이를 좀 지켜봐. 달러가 강세로 돌아서면(원화 약세) 네 ETF의 원화 가치가 올라갈 가능성이 있어.

3. 포트폴리오 조정:

- 위험자산 비율(67%)이 부담스럽다면, ETF 비중을 조금 줄이고 안정적인 자산(채권, 예금형 상품)에 투자하는 것도 방법이야. KB증권 앱에서 "펀가금액 순" 옆에 있는 설정 버튼을 눌러서 자산 배분을 조정할 수 있어.

4. 앱 사용 팁:

- KB증권 앱이 불편하다고 했는데, 토스 앱이 더 간단하게 보여줄 수 있으니 자주 확인하는 데는 토스를 활용하는 것도 좋아. KB증권 앱은 세부 설정이나 변경할 때 사용하고, 일상적인 확인은 토스로 하면 편할 거야.

---

5. 마무리

지금 네 퇴직연금이 -8.2% 손실 났다고 해서 크게 위험한 상황은 아니야. 트럼프 당선 이후 시장이 상승했지만, 환율이나 투자 시점 때문에 손실이 발생한 걸로 보이고, 장기적으로 보면 회복 가능성이 높아. 다만, 위험자산 비율이 조금 높은 편이니까 네 성향에 따라 조정하는 걸 고려해 봐. 그리고 퇴직연금은 장기 투자라는 점 잊지 말고, 너무 단기 손익에 일희일비하지 말자!

궁금한 거 더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 나도 초보 때 엄청 헤맸던 기억이 나서, 최대한 쉽게 설명해 보려고 했어. 잘 해결되길 응원할게!

***************************************************************************************************************

코인에 대해 막막했던 제가 찾아본 커뮤니티는 대부분 리딩만 제공하는 곳이었는데, 여기서는 진짜 같이 배우며 소통하는 분위기가 인상적이었어요. 전문가도, 코린이도 모두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도와주는 모습이 정말 좋더라구요. 혹시나해서 주소도 함께 남겨드렸어요

https://open.kakao.com/o/gv2zz6lh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